본문 바로가기
History

조선의 성리학과 사림 세력의 성장

by butterbear 2025. 3. 2.

조선의 성리학과 사림 세력의 성장

조선은 성리학(性理學, 주자학)을 국가 이념으로 삼아 중앙집권적 통치 체제를 확립했다. 성리학의 도입과 발전을 통해 사대부(士大夫) 계층이 성장했으며, 이후 사림(士林) 세력이 등장하여 정치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훈구파(勳舊派)와 사림파(士林派)의 대립이 전개되었고, 이후 조선 정치의 주도권이 사림파로 넘어가게 된다.


1. 성리학의 도입과 발전

① 성리학의 도입 (고려 말~조선 초)

  • 성리학은 송(宋)나라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철학으로, 고려 말 신진사대부(新進士大夫)에 의해 수용됨.
  • 고려 후기 안향(安珦)이 성리학을 처음 도입했으며, 백이정·이색 등이 이를 발전시킴.
  • 성리학을 배운 신진사대부는 고려의 권문세족을 비판하고 유교적 개혁을 추진, 조선 건국의 이념적 토대가 됨.

② 조선 건국 이후 성리학의 국가 이념화

  • 정도전(鄭道傳)이 성리학을 국가 이념으로 확립하며 불교를 배척(사원 정리, 억불 정책).
  • 태종·세종 대에는 경연(經筵)을 통해 성리학 교육을 장려하고, 국가 통치 원리를 정비함.
  • 세종(世宗) 때 집현전(集賢殿)을 설치하여 성리학 연구를 장려하고, 경국대전(經國大典) 편찬을 시작함.

2. 사대부(士大夫)의 정치적 성장

① 사대부의 형성

  • 고려 말부터 중앙 관료로 성장한 신진사대부가 조선의 정치 중심 세력으로 자리 잡음.
  • 이들은 과거 시험을 통해 관직에 진출한 유학자들로, 성리학을 정치적·사회적 기준으로 삼음.

② 사대부의 분화

  • 조선 초에는 훈구파(勳舊派)와 사림파(士林派)로 나뉘며 정치적 성향이 갈라짐.
구분 훈구파 사림파
기원 조선 건국을 주도한 개국공신 15세기 후반 성리학을 학문적으로 계승한 지방 유학자
주요 인물 정도전, 권람, 유자광, 신숙주 김종직, 조광조, 이황, 이이
학문 성향 성리학 외에 불교·도교·훈고학 등도 포용 순수 성리학 중심
경제 기반 공신들에게 분배된 과전(훈구 귀족) 지방의 서원과 향촌(유림 지도자)
정치 성향 중앙집권 강화, 왕권 강화 왕도정치 추구, 재상 중심 정치
외교 현실적, 친명(親明) 정책 명(明)과 성리학적 교류 중시

3. 훈구파와 사림파의 대립

① 훈구파(勳舊派)

  • 훈구파는 개국공신과 그 후손으로 중앙 정계를 장악한 세력으로, 개국 공신들의 후손이 많음.
  • 학문적으로 성리학을 따르지만, 경제·문화적으로 다양한 사상을 포용(불교·도교·훈고학 등).
  • 왕권 강화를 지지하며, 대토지 소유를 통해 경제적 기반을 다짐.
  • 세조(世祖) 이후 권력을 장악하여 부정부패가 심해짐.

② 사림파(士林派)

  • 사림파는 훈구파의 부정부패를 비판하며 등장한 성리학 중심의 정치 세력.
  • 15세기 후반 성종(成宗) 때 김종직(金宗直)을 중심으로 중앙 정계에 진출.
  • 학문적으로 순수한 성리학을 중시하며, 향촌 자치(서원·향약)와 왕도정치(王道政治)를 강조.
  • 훈구파와의 대립 속에서 지속적으로 탄압받으며, 여러 차례 사화(士禍)를 겪음.

4. 사림 세력의 성장과 사화(士禍)

훈구파는 사림파의 성장에 위협을 느껴 지속적으로 탄압하였고, 이 과정에서 **4대 사화(士禍)**가 발생함.

① 4대 사화(四大士禍)

사회 연도 주요 인물 내용
무오사화 1498 김종직, 김일손 김종직의 '조의제문'이 문제 되어 사림 숙청
갑자사화 1504 연산군 폐비 윤씨 사건과 관련하여 사림과 훈구 일부 숙청
기묘사화 1519 조광조 조광조의 개혁 정치가 훈구파의 반발로 실패
을사사화 1545 윤임, 윤원형 명종 즉위 후 외척 세력 간 갈등으로 사림 피해

5. 사림의 정치적 집권과 붕당 정치의 시작

① 사림의 성장

  • 선조(宣祖) 즉위 후, 사림파가 정치의 중심 세력으로 부상.
  • 사림파는 주로 3사의 언론 기관(사헌부·사간원·홍문관)을 장악하여 훈구 세력을 견제.
  • 지방에서는 서원(書院)과 향약(鄕約)을 통해 지방 사회를 장악하며 유림 세력 확대.

② 붕당(朋黨) 형성

  • 사림 세력이 집권하면서 내부적으로 학문적·정치적 입장 차이로 분열.
  • 선조(宣祖) 대에 동인(東人)과 서인(西人)으로 분열하며 붕당 정치가 시작됨.
붕당 주요 인물 성향
동인 김효원, 이황, 조식 상대적으로 개혁적, 명분 중시
서인 심의겸, 이이, 성혼 현실 정치 중시, 온건 개혁

이후 동인은 남인(南人)·북인(北人)으로, 서인은 노론(老論)·소론(少論)으로 분화하며 조선 후기 당쟁이 심화됨.


6. 사림의 역사적 의의

성리학적 질서 확립:

  • 성리학을 바탕으로 조선의 정치·사회 구조를 정립함.
  • 지방에서 서원을 중심으로 성리학 교육이 활발히 진행됨.

향촌 사회 장악:

  • 향약과 서원을 통해 지방에서 사대부가 주도하는 질서를 확립.

언론 기능 강화:

  • 3사를 중심으로 왕권을 견제하며 언론 정치(言論政治)의 전통을 확립.

붕당 정치 발달:

  • 사림의 정치 참여로 인해 조선 정치가 단순한 왕권 중심에서 다양한 논쟁과 균형을 이루는 형태로 변화.

🔹 결론

조선의 성리학과 사림 세력의 성장은 조선 정치와 사회의 근간을 이루었다.
사림이 훈구를 몰아내고 집권한 이후, 붕당 정치가 시작되면서 조선 정치 구조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