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istory

역사란 무엇인가, 역사는 왜 배워야하는가?

by butterbear 2025. 2. 23.

픽사베이 제공

1. 역사란?

역사란 인간 사회와 문화의 발전과 변화, 그리고 그 과정에서 일어난 사건들을 기록하고 해석하는 학문이다. 과거의 사건들을 통해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에 대한 교훈을 얻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역사학은 단순히 과거의 사실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건들이 왜 일어났고 그 결과가 무엇이었는지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역사학자들은 다양한 자료들, 예를 들어 문서, 유물, 구술 역사 등을 바탕으로 과거를 재구성하며, 이를 통해 인간의 경험과 삶의 변화를 추적한다.
즉, 역사는 단지 과거의 기록이 아니라, 우리가 현재를 어떻게 이해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역사를 배우는 이유

역사를 배우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이유는 '과거를 통해 현재와 미래를 이해하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교훈을 얻기 위해서'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이유들이 있을 수 있다.
(1) 현재 이해: 역사적 사건이나 변화들은 오늘날의 사회 구조나 문화, 정치적 상황에 큰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과거의 전쟁, 혁명, 사회 운동 등은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이를 알면 현재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2) 교훈을 얻기 위해: 역사는 반복되는 경향이 있다. 역사 속에서 우리는 실수나 성공을 본다. 이를 통해 잘못된 선택을 피하고, 긍정적인 변화나 발전을 이루기 위한 방향을 제시받을 수 있다. 많이 언급되는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말처럼, 과거에서 얻은 교훈을 통해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다.
(3) 문화와 정체성: 역사는 한 사회나 국가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우리가 속한 문화와 전통, 가치관은 오랜 시간 동안 형성된 역사적 과정의 산물이다. 역사 공부를 통해 자신과 자신의 사회, 국가가 어떤 가치를 가지고 있는지, 어떤 전통을 이어오고 있는지 알 수 있다.
(4) 비판적 사고와 분석 능력 향상: 우리는 역사를 배우면서 사실을 단순히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시각에서 사건을 분석하고, 그 배경과 맥락을 이해하려 한다. 이런 과정은 비판적 사고 능력과 분석적 사고를 키우는 데 도움을 준다.
(5)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역사적으로 특정 사건들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알면, 비슷한 상황에서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지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제 위기나 정치적 혼란 등의 상황에서 이전의 경험들을 바탕으로 사례를 연구하여 더 나은 대응을 할 수 있다.

결국, 역사를 배우는 것은 '단순한 과거의 기록을 아는 것'을 넘어, 우리가 어떻게 살아가고, 어떻게 발전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역사란 무엇인가?

에드워드 카(E. H. Carr)가 쓴 역사철학 도서이다. 역사의 정의 중 하나로 유명한 "역사는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가 이 책에서 나온 표현이다. 

이 책은 역사학의 본질에 대한 논의를 담고 있는데, 역사적 사실의 완전한 객관성은 불가능하며, 또한 그것이 반드시 옳은 목표는 아니라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1) 역사학에서 객관성이란?

완벽한 객관성은 불가능하다.

 - 사료는 사건의 ‘일부’만을 반영하며, 모든 사료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 역사가가 사료를 선택하고 서술하는 과정에서 개인의 견해와 해석이 들어갈 수밖에 다음.

 - 같은 사건도 입장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실증주의 역사학의 한계

 - 과거의 실증주의 역사학은 역사가를 단순한 ‘기록기계’처럼 보았다.

 - 하지만 역사가는 사료를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해석을 통해 역사적 의미를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 따라서 역사는 단순한 사실의 집합이 아니라, 역사가의 해석이 반영된 학문이다.

역사학의 역할

 - 단순한 기록이 아니라, 합리적인 추론을 통해 진리를 찾아가는 과정.

 - 학설의 검토, 새로운 사료의 발견 등을 통해 역사적 사실은 계속 수정·발전될 수 있음.

 - 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이며, 적극적인 해석과 비판이 필요함.

(2) 비판적 시각

 - 책의 구성이 다소 난해하여 독자가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 에드워드 카(E.H. Carr)의 역사 개념(“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이 깊은 통찰이 아니라 단순한 절충이라는 비판도 존재한다.

(3) 결론

역사학이 객관성을 추구하되, 완전한 객관성에 집착하는 것은 비현실적이고 불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오히려 역사가의 비판적 사고와 해석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역사적 사실은 끊임없이 검토되고 발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4) 발췌

역사란 역사가와 그의 사실들 사이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의 과정이며, 현재와 과거 사이의 끊임없는 대화이다.
History is a continuous process of interaction between the historian and his facts, an unending dialogue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사실을 배우기 전에 역사가에 대해서 연구하라.
Study the historian before you begin to study the facts.

 

역사가는 일반화를 한다는 점에서 역사적 사실 수집가와 구분된다.
What distinguishes the historian from the collector of historical facts is generalization.


역사가의 역할은 과거를 사랑하는 것도 아니고, 과거에서 그를 해방시키는 것도 아니다. 현재를 이해하는 열쇠로서 과거를 이해하고 다루는 것이다.
The function of the historian is neither to love the past nor to emancipate himself from the past, but to master and understand it as the key to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한 사회가 어떤 역사를 쓰느냐, 어떤 역사를 쓰지 않느냐 하는 것보다 더 그 사회의 성격을 뜻깊게 암시하는 것은 없다.
There is no more significant pointer to the character of a society than the kind of history it writes or fails to write.

 


역사로부터 배운다는 것은 결코 일방적인 과정일 수는 없다. 과거에 비추어 현재를 배운다는 것은 또한 현재에 비추어 과거를 배우는 것이기도 하다. 역사의 기능은 과거와 현재의 상호관계를 통해 양자를 더 깊게 이해시키려는 데 있는 것이다.


역사가의 지식은 개인적인 소유물이 아니라 여러 세대에 걸친 사람들이 여러 나라에서 그 축적에 참가해온 것이다. 그리고 역사가 즉, 그 행위를 연구하는 당사자들만 하더라도 진공 속에서 행위한 고립된 개인이 아니라 과거 어느 사회의 문맥 속에서, 또 그것에 충동을 받으면서 행위하고 있었던 것이다. (…) 그는 다른 많은 개인과 똑같이 하나의 사회적 현상이며, 그가 속한 사회의 산물인 동시에 그 사회의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 대변인이다. 그런 자격으로 그는 역사적 과거의 사실에 접근해 가는 것이다.